맛집

먹으면서 돈 버는 짬뽕집 - 이종구 항아리 짬뽕
''




‘중화요리’라고 하면 우리나라 국민들은 대부분 짜장면을 떠올리며 졸업식, 소풍, 생일 같은 특별한 날에 손꼽아 기다렸다가 꼭 먹으러 가는 중국집의 대표 메뉴였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짜장면이 대표메뉴이면서 탕수육과 짬뽕이 격식을 갖추는 메뉴였던 중국집들은 ‘ㅇㅇ짬뽕’이라는 상호로 재탄생 하며 짬뽕을 전문으로 하는 중국집들의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그 때문에 짬뽕 전문점에서라면 영원히 해결되지 않을 한국인의 갈등 ‘짜장면을 먹을까? 짬뽕을 먹을까?’의 기로 앞에서 더 이상 갈등하지 않고 주저
없이 짬뽕을 선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 열기에 힘입어 라면까지도 ‘짬뽕라면 춘추전국 시대’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수많은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며 짬뽕의 열풍을 입증해 주고 있다.
짬뽕은 짜장면과 마찬가지로 중국집에서 팔지만 막상 중국 본토에는 없는 한국음식이다.
짬뽕의 유래는 나가사키 지방에 살던 중국 화교들이 고향의 음식을 변형해 탄생시킨 것이다. 메이지시대 항구도시인 나가사키에는 중국 푸첸성 출신 화교들이 다수 거주했는데 그 중에는 가난한 중국 유학생들과 항구 노동자가 많았다. 그들에게 중국인 조리사 ‘진헤이준’이 쓰다 남은 야채와 고기토막, 어패류 등을 볶아 중화면을 넣고 끓여 만들어 준 것이 짬뽕이다. ‘진헤이준’의 고향인 푸첸성의 ‘밥 잘먹었냐’는 인사인 ‘샷폰’이 ‘차폰’으로, 이것이 일본어 ‘잔폰’으로 되었다. 짬뽕이라는 말도 이 ‘잔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나가사키식 짬뽕은 우리나라의 짬뽕보다 희고 순한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에서 우리나라로 짬뽕이 들어오면서 우리 식의 국물이 붉고 맵고 얼큰한 짬뽕으로 변했다고 한다.
중국의 요리에서 파생되어 일본어 명칭이 붙고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완성된 것이 바로 오늘날의 한국식 짬뽕이다. 그야말로 중국과 일본, 한국의 식문화가 모두 ‘짬뽕’된 음식인 것이다.
율량동 짬뽕 맛 집으로 소문난 ‘이종구 항아리 짬뽕’은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얼큰한 짬뽕의 기본에 충실한 맛이다.





신선한 홍합, 새우, 오징어 등의 각종 해산물과 야채가 듬뿍 들어간 짬뽕은 상호처럼 항아리에 푸짐하게 담겨 나온다. 불맛이 나는 얼큰한 국물 맛과 쫄깃한 면발은 맛 집이라는 명성을 입증해 주기에 손색이 없다. 항아리 짬뽕 2~3인분을 시키면 고르곤 졸라 피자가 공짜로 제공된다. 공짜로 제공되는 피자라고 해서 절대로 궁색한 맛이 아니다. 얇고 바삭한 도우와 치즈, 그 위에 발라 나오는 꿀은 달콤하면서 쫀득한 일품 피자의 맛이다. 이 외에 공기밥도 공짜, 곱빼기도 공짜, 보리 강정도 공짜이니 먹으면서 돈을 번다는 느낌이 들 정도이다.
이곳까지 오신 시간을 갚는 방법으로 준비한 마음이라고 하는 주인장의 배려와 정성이 담겨 있는 서비스들이다.





어린이 놀이방과 여인의 수다방 이라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어 아이들을 데리고 온 주부들에게는 마음 편하게 식사를 할 수 있는 식당이다.
‘이종구 항아리 짬뽕’은 얼큰한 짬뽕 전문점 이면서도 고르곤 졸라 피자, 보리 강정과 같은 서비스로 아이들과 함께 먹을 수 있는 가족 식당으로 그 메뉴를 보완한 신개념 짬뽕 전문점이다.
국물에서 불맛이 나는 짬뽕도 먹고 싶고 탕수육과 피자도 먹고 싶을 때는 이 세 가지를 맛 볼 수 있는 ‘이종구 항아리 짬뽕’을 방문해 보는 것은 어떨까?





항아리짬뽕(2~3인) 2만원, 일품짬뽕 8천원, 일품짬뽕밥 8천원,
탕수육(적당히) 1만4천원, 끓여먹는 왕대박짬뽕(2~3인) 3만5천원


이종구 항아리 짬뽕/224-6688
해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